-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부산시가 교육부 주관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관리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하며 교육 혁신 선도 도시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이번 성과로 시는 최대 30억 원의 추가 사업비를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을 확보, 지역 교육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이 대학, 산업체, 공공기관 등과 협력해 지역 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핵심 사업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2월 시범사업 선도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지역 맞춤형 교육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교육부는 특구 2년 차를 맞아 전국 56개 시범지역(광역 7곳 포함)을 대상으로 운영 전반과 성과를 점검했다. 평가는 지자체-교육청 협력 거버넌스 구축, 특별교부금 집행 관리, 지역교육 혁신 의지 등 5개 영역 13개 세부 지표로 이뤄졌다.
부산시는 사업별 고른 재정 배분과 지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협력 주체의 참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지난 3월 교육부 주관 우수사례 공모에서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한 데 이어 이번 평가에서도 최우수 등급을 받으면서, 교육발전특구 운영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했다.
시는 이번에 확보된 추가 사업비 30억 원에 대한 사업계획을 시 교육청과 협의하여 오는 10월 30일까지 교육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현재 부산 교육발전특구는 연간 300억 원 이상의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아 '부산형 통합 늘봄', '디지털 교육혁신', '글로벌 인재 양성'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혁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연이은 우수한 성과가 내년(2026년) 교육부 교육발전특구위원회의 종합평가를 통해 결정될 특구 본지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지정이 되면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교육혁신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연속된 최상위권 성적은 부산의 공교육 강화 및 지역 인재 양성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음을 입증한다”며 “부산이 미래 교육 혁신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시 교육청과 긴밀히 협력해 특구를 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