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미군병사 구조 사건' 검증 논란, 이현정 의원 맹공

엇갈리는 증언 속 행정 신뢰도 문제 제기…객관적 검증 시스템 구축 촉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시정질문 이현정 (세종시의회 제공)



[PEDIEN] 세종시의회 이현정 의원이 '금남면 영대리 미군 병사 구조 사건'의 부실한 검증 과정을 지적하며, 투명한 검증 체계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6·25 전쟁 당시 영대리 주민들이 부상당한 미군 병사를 숨겨 돌본 이야기가 인류애의 상징으로 평가받는 감동적인 사례임은 분명하나, 현재 알려진 사건 내용이 증언과 기록에서 불일치를 보이며 혼선을 빚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사건 관련자들의 증언이 다르고, 사건 장소와 전개 과정 또한 기록마다 일관성이 없다고 지적하며, 객관적인 사실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과거 미국 언론과 중앙일보의 보도에서는 사건의 내용이 다르게 묘사되었으며, 심지어 향토지에서는 공동체의 행위로 기록된 내용이 언론 보도를 거치며 개인의 서사로 축소,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군 병사를 숨겨준 장소가 성하영의 집인지 임창수의 집인지, 은신처의 위치가 어디인지에 대한 증언이 엇갈리고 있으며, 미군 병사의 복귀 지점에 대한 기록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또한, 킬 패트릭 여동생의 편지가 누구에게 전달되었는지 행정이 공식적으로 확인한 바가 없다는 점을 비판하며, 섣부른 기념사업 추진이 행정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의원은 세종시가 시민 제보와 일부 자료 확인만으로 사실을 검증했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공식적인 검증으로 보기 어렵다고 비판하며, 철저한 검증과 자료 교차 확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언론 보도를 통해 공동체의 헌신이 특정 개인의 미담으로 축소되는 현실을 바로잡을 의지가 있는지 묻고, 객관적인 사실 확인을 위한 검증위원회 또는 자문기구 제도화를 제안했다.

이 의원은 금남면 영대리 사건이 한 개인의 미담이 아닌, 전쟁의 상처 속에서 서로를 지켜낸 지역 공동체의 헌신이자 인도주의적 기록임을 강조하며, 사실에 입각한 해석을 정비하고 신뢰성 있는 기록을 남기는 것이 행정의 책임이자 시민에 대한 의무라고 역설했다. 덧붙여 이번 사건을 계기로 세종시가 역사, 보훈, 문화사업 전반에 대해 사전 고증과 검증 절차를 제도화할 것을 촉구했다.

지자체 의회

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