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2030 창원형 청년정책 기본계획 최종보고회 개최

향후 5년간 청년 정책 방향 설정, 청년친화도시 조성 목표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창원특례시, ‘2030 창원형 청년정책 기본계획’최종보고회 개최 (창원시 제공)



[PEDIEN] 창원특례시가 2030년까지 적용될 창원형 청년정책 기본계획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향후 5년간 창원시 청년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창원시는 기존의 2025년 기본계획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창원 청년의 현황과 정책 환경을 분석하고, 향후 5년간 추진할 청년정책의 비전과 목표, 세부 과제를 설정한다.

최종보고회에는 청년정책위원회 위원, 관련 부서 관계자,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진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난 5월부터 진행된 연구용역 결과를 공유하고,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기존 계획의 성과, 국내외 청년정책 동향, 창원 청년 대상 설문조사 결과 등이 반영됐다. 특히 일자리, 주거, 문화,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 대한 중장기 정책 추진 체계와 국무조정실 공모사업인 청년친화도시 조성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창원시는 최종보고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하여 기본계획을 보완하고, 12월 중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고, 청년친화도시 창원을 만들어나갈 예정이다.

김지영 청년정책담당관은 “창원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기본계획에 담아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것”이라며 “청년들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체계를 구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자체의회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