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군포시가 타 지자체의 우수 사례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여 시정에 접목, 혁신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우수 시책 벤치마킹 사업'을 통해 타 시·군·구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군포형 정책으로 발전시키는 데 주력한다.
군포시는 분기별 벤치마킹 계획을 수립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6급 이상 공무원으로 구성된 벤치마킹 평가단의 심사를 거쳐 우수조와 장려조를 선정한다. 선정된 우수조는 월례 조회를 통해 전 직원에게 결과와 도입 방안을 공유하며 실제 시정에 반영한다.
2025년 3분기까지 총 28개조 109명의 공무원이 참여, 각 부서별 현안 사업과 시정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했다.
1분기에는 보건행정과의 재활 운동치료실 확장 설치 사업이 우수조로 선정되었다. 보건행정과는 송도 건강생활지원센터와 화성시 동탄 아르담복지관 등 우수 기관을 벤치마킹, 군포시 보건소의 재활 운동치료실을 확장 공사 중이다.
기존의 협소한 공간과 복잡한 이동 동선을 개선하고 작업치료실, 가족 카페, 상담실 분리 설치를 통해 이용자와 보호자의 편의를 증진한다. 벤치마킹을 통해 검토한 첨단 장비를 도입, 쾌적한 재활 환경을 조성하여 재활 효과 증진을 도모한다.
2분기에는 세정과에서 추진한 '큰 글씨 지방세 고지서'가 우수조로 선정되었다. 세정과는 서울 중구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군포시만의 독자적인 고지서 시안을 자체 개발했다.
납세자가 한눈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글씨 크기를 40% 확대하고 주요 납세 정보를 중앙에 배치했다. 특히 외부 용역 없이 시 공무원들이 직접 디자인을 완성, 추가 예산 없이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단순 민원 전화가 줄고 납기 내 징수율이 높아지는 등 시민 편의와 행정 효율을 동시에 높였다.
3분기 우수조로 선정된 복지정책과는 광명시 무한돌봄센터의 고독사 예방 사업을 벤치마킹, 군포형 복지안전망으로 보완하여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군포시는 우체국과 협업, 월 2회 이상 집배원이 복지 안내문과 물품을 전달하며 대면 안부 확인을 수행하는 '안부 살핌 우편 서비스'를 도입한다. 또한 '위기 이웃 발굴 포상제'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제보하여 발굴된 가구가 기초생활수급자 등으로 선정되면 제보자에게 물품을 지원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 시민 참여를 활성화하여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유도한다.
기존에 추진하고 있던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AI 안부 서비스를 보완하고 촘촘한 지역 복지망을 구축, 사회적 고립 가구를 예방할 예정이다.
군포시는 단순 견학 중심의 벤치마킹에서 벗어나 실제 시정 반영 중심의 체계적인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업무 도입 실적을 우수 부서 평가지표에 반영, 실질적인 정책 적용을 유도한다. 우수 사례를 내부 통신망과 월례 조회를 통해 전 직원에게 공유하는 등 조직 전반의 정책 아이디어 확산과 협업 문화 조성을 위해 우수 시책 벤치마킹을 체계적으로 운영해 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군포시는 벤치마킹을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정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군포형 혁신 행정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현장 중심의 실질적 벤치마킹으로 창의와 협업이 활발한 공직 문화를 조성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