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회 이대선 부위원장, 폐기물 행정 전반 '메스'… 적극 관리 체계 마련 촉구

건설폐기물 허가부터 생활폐기물 복지까지… 꼼꼼한 점검과 대안 제시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수원시의회 이대선 부위원장, 폐기물 행정 전반에 대한 총체적 점검 필요 (수원시의회 제공)



[PEDIEN] 수원시의회 환경안전위원회 이대선 부위원장이 폐기물 행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적극적인 개선을 촉구했다. 26일 환경국 청소행정과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부위원장은 그동안 간과했던 행정 사각지대를 짚어내며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다.

이 부위원장은 건설폐기물 수집운반업 허가 요건 강화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2017년부터 내부 방침을 통해 허가 요건을 강화하고 업체 수를 제한하면서 양도양수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2026년부터는 허가 요건을 완화하고 업체 수 제한을 없애는 대신, 구체적인 추진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건설폐기물 배출자 점검의 형평성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2024년과 2025년 점검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난 점을 지적하며, 점검 횟수, 업체 선정 기준, 불시 점검 여부 등이 불명확해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민원 발생 시에만 점검을 나가는 소극적인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분기별 정기 점검 등 사전 점검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직원 복리후생 문제도 제기됐다. 현재 대행업체 역량에만 맡겨져 있는 복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 차원에서 녹색교통회관이나 시 체육·문화시설과의 MOU 체결을 통한 공통 복지 지원 체계 마련을 제안했다.

이 외에도 음식물자원화시설 악취 민원에 대한 사전 대응 체계 마련, 모든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의 사회공헌사업 추진 현황 제출 등을 요청했다. 이 부위원장은 “수원 시민의 생활과 직결된 폐기물 행정은 소극적인 관리 행태를 개선하고, 사전 예방 중심의 적극 행정 원칙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