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서울시 조사 결과, 해외직구 이용자 45.3%가 안전성 우려로 구매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가 주요 온라인 플랫폼 1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비자 눈높이 평가'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번 평가는 소비자 만족도, 소비자 보호, 피해 발생 등 3가지 영역으로 진행됐다. 평가 대상은 통신판매업 신고 기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업 중인 주요 온라인 플랫폼 10곳이다.
평가 결과, SSG닷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롯데ON, 카카오톡 쇼핑하기 등 국내 플랫폼은 전반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반면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 해외 플랫폼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소비자 이용 만족도 평가에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테무는 해외 전화번호만 표시되어 유선 고객센터 이용이 어렵고, 알리익스프레스는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미표시, 청약 철회 규정 미비 등 소비자 보호에 소홀한 점이 드러났다.
또한 일부 플랫폼은 소비자가 청약 철회 요청 후 특정 기간 내에 상품을 반송하지 않으면 청약 철회를 제한하거나, 의사 표시가 없는 경우 판매자에게 물품 대금 지급을 완료하는 등 소비자 권리를 제한할 수 있는 약관을 포함하고 있었다.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 발표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 변화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해외직구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중 45.3%가 안전성 우려로 구매를 줄였다고 응답했으며, 해외직구 상품 구매를 늘렸다는 응답은 5.4%에 그쳤다.
서울시는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와 정보 공개, 전자상거래 분야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김명선 서울시 공정경제과장은 "C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이용자가 급증했지만,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는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소비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2004년부터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를 운영하며 전자상거래 관련 소비자 피해 예방 및 구제를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 관련 상담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