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극 '조씨고아', 복수 넘어 인간 본성 꿰뚫는 통찰

고선웅 연출, 권력과 윤리 사이 딜레마…현대 사회에 질문 던지다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경상북도 구미시 시청



[PEDIEN] 연극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이 던지는 메시지는 단순한 복수극을 넘어선다. 작품은 권력의 횡포, 복수의 의미, 인간 양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성찰의 시간을 제공한다.

고선웅 연출은 중국 원대 잡극 '조씨고아'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그는 고전 속 서사와 현대인의 삶을 교차시키며, 관객 스스로 윤리적 판단과 사회적 감각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극은 진나라 시대, 도안고의 계략으로 멸문당한 조씨 가문의 마지막 핏줄을 지키려는 정영의 고뇌와 헌신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조씨 가문의 문객이었던 정영은 갓난아기 조씨고아를 자신의 아들 정발로 속여 키우기로 결심한다.

도안고는 정영을 신뢰하며 정발을 양자로 삼으면서 비극은 시작된다. 시간이 흘러, 정영은 성장한 정발에게 조씨 가문의 비극적인 진실을 고백하고 복수를 부탁한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본성, 신의, 그리고 대의명분 사이의 갈등이 심화된다.

작품은 원작의 뼈대를 유지하면서도 인물들의 감정선을 세밀하게 묘사하여 관객들이 이야기에 몰입하도록 유도한다. 복수의 허망함과 삶의 비극성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적절한 유머를 배치하여 극의 흐름을 조절한다.

비극과 희극이 교차하는 연극적 리듬은 극 전체의 분위기를 풍성하게 만든다. 이는 관객들이 현재 한국 사회가 직면한 윤리적 문제들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조씨고아'는 단순한 고전극을 넘어, 우리 시대에 필요한 질문을 던지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자체의회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