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청소년, 정책 공청회 통해 7개 정책 제안

예산 챗봇, 실종 아동 정보 공개 등 청소년 주도 정책 제안 돋보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고양시 청소년 7개 정책 공식 제안 제1회 청소년정책공청회



[PEDIEN] 고양시 청소년들이 직접 발굴한 7개의 정책이 '2025년 제1회 고양시 청소년정책공청회'에서 공식적으로 제안됐다.

마두청소년수련관에서 지난 15일 열린 이 공청회는 청소년들이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스스로 찾아내고, 전문가, 시의원, 공무원들과 함께 정책 실현 가능성을 논의하는 최초의 공론장으로 의미를 더했다.

공청회는 고양특례시장의 영상 인사와 고양시청소년재단 경영본부장의 격려사로 시작을 알렸다. 이어 우찬미 고양시청소년참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1년간의 참여 활동 경과를 발표하며 정책 탐색 과정과 시민 의견 수렴 과정을 상세히 소개했다.

우 위원장은 청소년들이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주체적으로 노력했음을 강조하며 공청회의 의미를 되새겼다.

1부에서는 청소년참여위원회와 청소년의회가 고양시 4대 의제를 중심으로 총 7개의 정책을 제안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시민 친화형 예산 챗봇 도입, 청소년 대상 정치·민주시민 교육 확대, 쓰레기통 추가 설치, 빗물받이 위치 표식 확대, 교통섬 신호등 설치, 실종 아동 정보 공개, 비상용 생리대 무료 지급기 확대 등이 논의됐다.

제안된 정책들은 청소년들의 실제 경험에서 비롯된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참석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2부 '정책 토론 한마당'에서는 남화성 박사의 진행으로 고양시의회 위원, 청년정책협의체장, 경찰서 경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제안의 실현 가능성을 심도 있게 검토했다.

특히 교통섬 신호등 설치는 보행자 안전 개선 방안으로, 실종 아동 정보 공개는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 모델로 주목받았다.

최회재 고양시청소년재단 대표이사는 청소년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 반영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우찬미 위원장은 청소년들의 정책 제안이 고양시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고양시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제안된 정책들의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고, 관련 부서와의 협력을 통해 정책 반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