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관광 혁신 동력, 스타트업에 달렸다... 현장 목소리 정책 반영 추진

제주도, '관광 스타트업 데이' 개최... 규제 완화·특화 펀드 조성 등 건의 쏟아져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2025 관광 스타트업 데이



[PEDIEN] 제주특별자치도가 급변하는 관광 트렌드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광 스타트업의 혁신 역량을 정책 동력으로 삼는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지난 13일 제주웰컴센터에서 ‘2025 관광스타트업 데이-제주 관광 밋업, 창의&혁신’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번 행사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제주 관광 경쟁력을 높이는 스타트업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이들의 현장 경험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영훈 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제주 관광이 20~30대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관광 스타트업 종사자들의 역할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오 지사는 도정, 관광당국, 민간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룰 때 이런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제주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행사에는 오 지사를 비롯해 제주관광공사 사장, 관광 전문가, 도내 스타트업 관계자 및 예비 창업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와 토크콘서트에서는 스타트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논의됐다. 엑셀러레이터 기업인 엠와이소셜컴퍼니 강신일 부대표는 투자자 입장에서 스타트업 성장 단계별 체계적 지원 전략과 관광·고향 특화재원을 활용한 지역 기반 펀드 결성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현장 기업들은 규제 완화와 판로 확대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말고기연구소 황대진 대표는 “창의와 혁신의 핵심은 규제 타파”라며 카테고리별 규제를 전담으로 접수하고 명확히 답변하는 기관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컬러랩 김명은 대표는 성과를 내는 기업들이 주요 관광 거점에서 홍보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을 건의했다.

참석자들은 이 외에도 제주형 특화 관광펀드 조성, 농어촌민박 등을 활용한 스타트업 직원 숙소 지원, 제주공항 등에서의 제품 판매처 확대, 전문가 육성을 위한 인재 프로그램 강화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오 지사는 “제주 관광의 혁신은 행정이 아닌 기업과 현장에서 시작된다”며 논의된 제안들을 구체적인 정책에 반영해 관광스타트업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다짐했다. 제주도는 2018년부터 관광스타트업 육성 사업을 통해 43개 기업을 발굴했으며, 이를 통해 현재까지 일자리 501개 창출, 매출 732억 원, 투자유치 109억 원의 성과를 거뒀다.

제주도는 앞으로도 기술개발, 투자유치, 해외시장 진출 등 전주기적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민관협력 기반의 혁신 생태계를 더욱 견고히 구축해나갈 방침이다.

세종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