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교육발전특구 평가 '최고 A등급' 달성... 국비 10억 추가 확보

공교육 혁신 및 AI 인재 양성 모델 호평, 교육부 “가장 모범적인 운영 도시” 극찬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교육발전특구 협의회의 (사진제공=광주광역시)



[PEDIEN] 광주광역시가 교육부 주관 ‘2024년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 성과관리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하며 추가 국비 10억 원을 확보했다. 이는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목표로 지난해 도입된 교육발전특구 사업에서 광주가 가장 모범적인 운영 성과를 보였다는 평가다.

교육발전특구 시범 사업은 공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추진하는 핵심 정책이다. 교육부는 매년 각 지역의 운영 성과를 점검해 우수 지역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미흡 지역은 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광주시는 이번 평가에서 특히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 모델을 구축한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수요자 맞춤형 공교육 혁신을 통해 인재를 육성하고, 이들이 지역 내 취업과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했다.

특히 ‘광주형 인공지능(AI) 인재 성장 사다리’ 연계를 통해 AI 및 디지털 분야 인재를 집중적으로 양성한 점이 주효했다. 이는 광주가 미래차, AI 등 첨단 산업을 지역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광주시의 우수한 운영 시스템에도 주목했다. 강기정 시장과 교육감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35개 기관이 참여하는 강력한 교육발전특구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광주를 ‘가장 모범적인 교육발전특구 운영도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성과가 전남대와 조선대의 글로컬대학 선정에 이은 교육 분야의 겹경사임을 강조했다. 강 시장은 “교육을 미래 성장 동력의 중심에 두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앞으로도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통합돌봄, AI, 미래차 등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