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경기도가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와 손잡고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내는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한 새로운 공공 협력에 나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3일 박기태 반크 단장 등 관계자들과 만나 AI 오류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글벌 AI 대사' 양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는 AI 기술이 경기도 관련 정보를 잘못 제공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되면서 마련됐다. 실제 AI는 현재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에 있다고 오인하거나, 경기도 광교청사 이전 연도를 2016년 또는 2023년으로 제각각 안내하는 등 심각한 오류를 보였다.
단순 지리 정보 외에도 기후행동, 청년 정책, 버스 환승제도 등 주요 정책에 대한 서술 오류가 발견됐다. 또한 경기도 문화유산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역사적 맥락을 축소하는 사례도 확인돼 정보 신뢰도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반크는 이러한 AI 오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구체적인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주요 제안으로는 경기도 공식 채널을 활용한 AI 오류 신고 캠페인 전개, 오류 신고 보상 시스템 도입, 그리고 도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델 구축 등이 포함된다.
특히 청소년과 청년을 중심으로 생성형 AI 오류를 모니터링하고 시정하는 '글로벌 AI 대사' 양성 사업을 확대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박기태 단장은 “경기도가 최초로 도민들을 AI 대사로 양성해 전 세계에 퍼진 오류를 시정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김동연 지사는 반크의 제안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도민들이 오류를 찾아 신고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관련 실국에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도록 지시했다.
경기도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생성형 AI 시대의 정보 신뢰도를 높이고 윤리적 활용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데이터 클라우드소싱 기반의 오류 탐지 시스템과 경기도형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통해 행정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와 반크는 2021년 독도의 날 간담회, 2024년 기후대사 양성 협약 등 꾸준히 공공 협력을 이어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