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서울 은평구가 AI-IoT 기반 전동보장구 이동 안전 플랫폼 구축으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받았다.
구는 전동보장구 이용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이 플랫폼을 구축, 주민, 지자체, 민간 기업 간 협력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수상은 20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열린 '2025년 데이터 기반 지역 문제 해결 사업' 성과 공유회에서 결정됐다.
은평구는 전동보장구에 IoT 센서를 부착, 사고 발생 시 자동 감지하여 관제센터와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사고 발생 시 자동 알람이 전송되고, 주변 CCTV 영상이 즉시 표출되어 119 신고 체계와 연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노인복지관 등에서 제공된 생활 기반 데이터를 AI로 분석,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약 3만 건의 주행 경로와 충격 강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 불편 지역을 파악하고 도로 정비 우선 구간을 도출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주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전동보장구 이용자, 복지기관, 자문기관 관계자 120명으로 구성된 '스스로해결단'을 운영, 정기 회의와 현장 점검을 통해 개선점을 발굴하고 있다.
시범 사업 참여자들은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부담이 줄어 이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은평구는 이동 안전 플랫폼 구축을 통해 사고 초기 이동 약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면 파손, 턱 높이, 불법 주정차 등 위험 요인을 신속하게 개선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조치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AI와 IoT 기술로 이동 약자의 안전을 개선한 이번 사업이 장관상을 받게 되어 기쁘다”며 “주민 참여를 통해 데이터를 만들고 문제를 해결한 성과인 만큼, 앞으로도 주민 체감형 데이터 정책을 확대하여 안전한 스마트 도시 은평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