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온라인 뉴스팀

[PEDIEN] 광명시가 시민들과 함께 사회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을 수립한다.
시는 지난 2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80여 명의 시민이 참여한 '사회재난 극복 시민참여 방안 공론장'을 개최, 사회재난 대응 기준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공론장은 소하동 아파트 화재 당시 활동했던 시민대책위원회의 제안을 바탕으로 '사회재난 회복을 위한 시민참여 매뉴얼'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시민들이 재난 대응 기준을 직접 설계하는 참여형 방식으로 진행됐다.
공론회에서는 시민대책위원회의 활동 보고, 사전 설문조사 결과 공유, 그리고 원탁 토론 등이 진행됐다. 토론에서는 사회재난의 개념과 인식, 광명시가 대응해야 할 사회재난의 범위, 시민과 행정의 역할 분담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됐다.
특히, 시민들은 재난 발생 시 시민의 역할과 책임, 행정기관과의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박민선 시민참여 커뮤니티 위원은 “시민의 경험과 의견을 직접 나누며 사회재난 대응을 고민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이번 논의가 시민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매뉴얼 마련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공론장은 사회재난 대응 기준을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들어가는 협치의 장”이라며 “도출된 논의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 구조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공론장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과 제안을 바탕으로 12월 TF팀을 구성, '사회재난 극복 시민참여 매뉴얼' 초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재난 발생 시 시민들이 회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