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방서, 주택 화재 대비 '맞춤형 대피 요령' 집중 홍보

공동주택·단독주택 유형별 화재 대피 핵심…'생존 골든타임' 확보

인쇄
기자
온라인 뉴스팀




용인소방서, ‘우리집 화재대피 행동요령’홍보 강화 (용인소방서 제공)



[PEDIEN] 용인소방서가 주택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민 대상 '우리집 화재대피 행동요령' 홍보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주택 유형에 따라 대피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맞춤형 행동 요령을 안내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공동주택 화재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대피 가능 여부 판단이다. 집 안에서 불이 났거나 외부 화재로 불꽃, 연기 유입 시 신속하게 판단해야 한다.

대피가 가능하다면 젖은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막고 계단을 이용, 지상이나 옥상으로 대피 후 119에 신고한다. 대피가 어렵다면 화염과 연기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공간으로 이동, 문을 닫고 젖은 수건으로 문틈을 막아 연기 유입을 차단한 뒤 구조를 요청해야 한다. 대피공간, 경량칸막이, 하향식 피난구 등을 활용해 생존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외부 화재 시 연기와 불꽃이 집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면 창문을 닫고 실내에서 상황을 주시하며 119에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다.

단독주택은 구조상 피난 동선이 단순하므로 초기 연기, 불길 감지가 생존의 핵심이다. 주택용 화재경보기 설치, 방, 거실, 주방 등 화재 취약 공간에 소화기 비치, 전기, 가스 점검, 실내외 통로 확보 등 예방 중심 대피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독주택은 피난기구가 없는 경우가 많아 초기 대응이 피해 규모를 결정짓는다. 평소 화재 대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길영관 용인소방서장은 "집 구조가 다르므로 가족 구성원이 함께 대피 방법을 미리 정해두는 것이 중요하다"며 "경보기와 소화기를 설치하고 대피 동선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안전한 가정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